My Sky Your Sky Hyun Bhin Kwon, Leehaiminsun, Minji Yi 7 June – 13 July, 2024
Download
CV
Press Release

We encounter various faces of the sky every day, depending on our locations and circumstances. Just as the sky constantly changes, so do we. Although the sky seems to have little meaning to us in our daily lives, its impression changes with our attitude. This is similar to how we perceive a work of art. Isn’t it also reminiscent of how artists observe their subjects before beginning their work? My Sky Your Sky is a conversation between two exhibition organizers, K (Kyungmin Lee) and S (Soohyun Kim), about the intuition of the artist and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In My Sky Your Sky, we present the artists: Hyun Bhin Kwon, Leehaeminsun, Minji Yi. While each artist works with different subjects and mediums, they intersect at a specific scene. We grasped this intersection through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intuitive response to the subjects, the ascetic practice of materials, and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S  The three artists’ intuitive responses to their subjects are quite explicit. The artists contemplate their subjects for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The artworks seem to unveil objects’ distinctive forms while visualizing the indefinite narratives of their states. It is interesting how the vividness of the image in front of us collides with its ambiguous counterparts.

K  This ambiguous appear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ubject is revealed and reflected. The transforming state of the object, combined with its specific materiality, permeates or accumulates on the surface to build various layers. This type of surface conveys multiple impressions to observers from different angles or distances, allowing for several interpretations.

From a the perspective of ‘ascetic practices’, the choice of materials–within the medium of painting, photography, and sculpture–is quite intriguing.

S  Leehaminsun paints on photographic paper, which possesses two unique characteristics: it repels water rather than absorbing it, and it becomes difficult to modify once the paint is absorbed. Since photographic paper undergoes continuous evolution and change, persistent experiments are required for the artist to achieve consistency with the material. I see the attitude of a religious practitioner in her art-making process, as she ceaselessly studies and closely relates to the materials. The artist’s investigation of the painting surface is connected to her examination of “objects that are light and weak, objects that are temporarily neglected, and objects that are enduring.” The works reveal a state of vulnerability within human life that strives to sustain itself. Still, Life: Remaining Snow – The Shape of Mind (2024) gives a glimpse of the direction of her practice.

K  The process of collecting objects through photography and dissolving the pigments in the prints using chemical solutions in 0°C (2024) also lies within the same context. The shapes that emerged after the chemical reaction allow for a morphological approach to the changed forms. They also evoke emotional responses such as a sense of loss. The instability of objects and their gradual disappearance within the painting provoke a reflection on existence.

S  Hyun Bhin Kwon’s marble sculptures are precise and dexterous. It looks like the artist has annotated each piece as if it was a book, making you want to read them. The thin stone slabs, the delicate lines intersecting them, and the faint blue pigment subtly challenge the typical perception of weightiness associated with stone sculptures. These thin forms that resemble drawings on paper are carved using stone-cutting tools. Every form is meticulously crafted and firm.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stone’s nature and center of weight, she strategically inserts the wedges and chisels to instantly disrupt its balance. The artist has also worked with large styrofoam sculptures in the past, manipulating the material to make it appear as if it possesses opposite properties. She gives fragility to a large body and flexibility to a solid material. She explores the limitless potentials within the material.

K  Hyun Bhin Kwon spends a length of time observing the properties of the stone in an ascetic practice before she begins sculpting. By tracing the delicately etched dots and lines on the sculpture, you can recognize the artist’s attitude and her profound respect for the years that the stone has endured. Over time, the blue ink in certain stones may fade or disappear. The artist described this fluid state as ‘a state in which the substance that keeps the pigment in a liquid state is evaporated, and the particles of the pigment are lodged in the cracks of the stone.’ For Kwon, materials become tools that symbolize the evolving passage of time that progresses beyond the stage of completion.

S  Minji Yi spends several days at the shooting locations. She primarily uses a medium format film camera to track the temporal imprints of places that are intertwined with her personal history. She photographs as if she were gathering stories. She is attentive to the contrast in perception in the collected stories, scenes witnessed by the eyes, and images captured through the viewfinder, and in the final result of the work. Film photography highlights these differences more significantly. These variations ultimately led to her study of how materials change chemically and physically over time, such as through photosynthesis and weathering. Her photographs undergo transformative processes like photosensitive operations and photopolymer printing. The results of her shooting accumulate into layers of material, attempting to slow down the flow of time and preserve the microhistories ingrained in the landscape.

K  Minji Yi records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ades of specific locations to trace the depths of time. The diverse lights she experienced in nature are fully captured in her works. Moonlight panorama (2024) series was taken from the Moon-belt rocks in Socheongdo Island, Incheon. Made of limestone, these rocks reflect white moonlight at night, having served as a lighthouse for sailors to navigate the sea. Yi’s photographs depict lines left from excavations and marks left from the water puddles, formed by ebb tides flowing through the crevices of the rocks. She reconstructs the island’s temporality through her own lens, approaching the narrative from her on-site experiences. The artist continues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hotographic object, such as the frottage technique used in Silver lining (2024).

Regarding the sense of ‘boundary’ revealed in the works of the three artists.

S  We began the conversion with the sky–the sky observed as an object, and the sky portrayed according to the observer’s state. For humans who live on the ground, the sky is merely an abstract emotion because no one can possess it. On the other hand, the artists excavate the invisible from what is visible. The three artists have assembled thoughts emerg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material. This exhibition is the point where three paths briefly intersect, as one would encounter another on a skybridge stretched across the open sky in different directions.

K  The sky evokes a boundless sense of space and time. The changes in the sky render even the most familiar moments and places unfamiliar. Just as each individual perceives and interprets the sky differently, My Sky Your Sky exhibits three artists’ crossing points and counterpoints in their approach to the boundaries of sensation and perception.


Hyun Bhin Kwon (b. 1991) stares at an object for a long time and imagines its sculptural possibilities. While looking at the main material–stone–she searches for cracks to split, knock, carve and paste it. Kwon was selected for the DOOSAN ART LAB Exhibition 2019: Part 1 (2019, DOOSAN Gallery, Seoul) and has had solo exhibitions at Gallery KICHE, MONOHA, A-Lounge, and RAINBOWCUBE. She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HITE Collection, WESS, Art Sonje Center, Amado Art Space, and P21.

Leehaiminsun (b.1977) focuses on objects that have to endure against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or objects that are placed temporarily. She captures the intersection of artificial and natural, life and death–transforming them into drawings, paintings, and installations. Leehaiminsun has participated in solo exhibitions such as Decoy (2021, PERIGEE GALLERY, Seoul), The Mass (2017, PLACEMAK, Seoul), and The Weight of the Skin (2015, Hapjungjigu, Seoul). In addition to her recent exhibition at Thaddeus Lopac, she has participated in exhibitions at Daegu Art Museum, HITE Collection and other organizations.

Minji Yi (b. 1986) photographs what she sees and what she doesn’t see. While gauging the sensory time difference of the things taken, she also attaches words and voices to them. She has held solo exhibitions Only the future visits the past (2023, Incheon Art Platform, Seoul), Ghost Motion (2021, Gallery Chosun, Seoul), and Sight-lag (2018, Hapjungjigu, Seoul), and created the photo book To bury the dog properly (Aprilsnow Press, 2019). She tries to question and observe how the act of ‘seeing’ could expand into other sensations and to others.




우리는 매일 다른 얼굴의 하늘을 만난다. 내가 서 있는 장소에 따라, 내가 처한 상황에 따라. 하늘의 모양새가 늘 움직이는 것처럼 우리의 모습도 계속 다르다. 하늘은 우리 일상에 있어서 특별한 것이 없지만 그 인상이 감상하는 자의 태세에 맞추어 달라진다는 건 작품을 바라보는 느낌과 맞닿을 수 있을 것 같다. 미술가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대상을 바라볼 때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My Sky Your Sky»전의 작가가 바라본 것과 감각의 경계에 관한 기획자들의 대화이다.

«My Sky Your Sky»전에서 권현빈, 이민지, 이해민선 작가님과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각기 다른 매체와 주제로 작업하고 계시지만 어떤 장면이 만난다는 인상을 받았어요. 세 분의 작가님의 작업이 어우러지는 이유에 관하여 바라보는 대상, 수행이라는 관점에서 재료를 사용하는 방식, 감각의 경계, 이렇게 정리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김수현(이하 김)  세 명의 작가들이 바라보는 대상은 꽤 명료해요. 그들은 대상을 오래 바라봅니다. 작품에는 대상의 구체적인 형상이 드러나는 것 같으면서 작가의 생각이 이어지는 상태에 대한 이야기가 모호하게 시각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요. 눈앞에 뚜렷한 이미지와 분명하지 않은 부분들이 부딪히는 게 흥미롭습니다.

이경민(이하 이)  세 작가의 작품에서 공통으로 드러나는 모호한 시각적 완성은 대상이 반영되는 표면과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대상이 변화하는 상태는 재료가 가진 특유의 물성과 결합하여 표면에 스며들거나 여러 층으로 쌓이는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층적 표현은 보는 이로 하여금 작품을 마주하는 각도와 거리에 따라 다른 인상을 전달하고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합니다.

수행이라는 관점에서 회화, 사진, 조각 세 분야에서 다루는 재료가 독특합니다.

김  이해민선 작가는 사진 인화지에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인화지는 물을 깊이 머금지 못하고 튕겨내거나, 한번 흡수해 버린 물감은 수정하기 매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인화지는 인쇄 기술에 맞추어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어서 일정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 실험이 필요합니다. 저는 작가님의 작업에서 구도자의 자세를 보았어요. 그는 회화의 주제와 재료를 연결하여 끊임없이 수행하고 있습니다. 작가가 회화의 표면을 연구하는 행위는 오랜 시간 천착해 온 가볍고 약한 사물, 임시로 놓인 채 방치된 사물, 버티고 있는 것과 연결됩니다. 그의 회화는 주제와 재료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요. 인간사와 주변부에 놓인 상황을 보여주며 우리는 무엇에 의지하고 기대하며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합니다. 전시된 작품 ‹Still, Life: 잔설: 정신의 형태›(2024)에서 앞으로의 방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이해민선 작가가 대상을 사진으로 수집해 인화한 후 피그먼트를 화학 약품으로 녹여내는 ‹0°C›(2024)와 같은 작업도 동일한 맥락 아래 놓여 있습니다. 이 방식은 사진을 녹이며 드러나는 모양에 형태적으로 접근하게 하며 일종의 상실감과 같은 감성적인 반응을 일으킵니다. 작가의 그림 속에 있는 소멸 중인 사물의 불안정한 상태와 장면은 존재에 대한 사유를 유발합니다.

김  권현빈 작가의 돌 조각은 교묘합니다. 그의 조각을 바라보면 있으면 작가가 조그맣게 주석을 달아 둔 것 같아서 읽어보고 싶은 기분이 들죠. 얇은 돌 판과 그 위를 가로지르는 가는 선들, 표면에 스민 푸른 물감은 우리가 익히 상상하는 돌 조각의 육중한 무게를 가볍게 제치고 있어요. 종이 위에 그린 것 같은 이 얇은 형상들은 석재용 초경날을 사용한 것입니다. 모든 형태는 매우 신중하고 단호한 것입니다. 작가는 그간 조각의 재료로 스티로폼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재료가 마치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반대로 보이게 하는 위트가 있어요. 스티로폼처럼 연약한 성질에 큰 몸집, 돌의 단단한 재질과 유연성, 작가는 재료가 가진 잠재력을 찾아 심상을 물질로 표현하는 것 같아요.

이  권현빈 작가는 석재가 가진 고유한 물성을 세밀하게 관찰하는 수행을 시작으로 작업합니다. 돌에 새겨진 미세한 선과 점을 천천히 훑어 내려가다보면 오랜 시간을 견뎌온 돌을 존중하는 작가의 태도를 느낄 수 있습니다. 작가가 조각에 사용한 푸른 잉크는 시간이 지나면서 희미해지거나 사라지기도 합니다. 작가는 이러한 유동적인 상태를 안료를 액체 상태로 있게 만드는 어떤 물질이 날아가고 다시 입자의 상태로 돌 틈에 박혀 있는 상태라고 표현했습니다. 그에게 재료는 완성의 단계를 넘어 시간이 흐르며 변화하는 상태까지 포함하는 도구입니다.

김  이민지 작가는 촬영을 결정한 장소에서 며칠간 시간을 보낸다고 합니다. 작가는 그의 역사와 관련된 장소에서 시간의 흔적을 추적합니다. 이야기를 그러모으듯이 촬영을 해요. 작가는 작업에 주로 필름 카메라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는 수집한 이야기, 눈으로 본 장면, 뷰파인더에 담긴 이미지와 작업 결과물에서 느껴지는 감각의 차이를 관찰해요.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는 그 차이가 더욱 클 것입니다. 작가가 작업을 통해 얻은 감각의 편차는 현장에서 광합성, 풍화 작용과 같이 물질이 오랜 시간을 거쳐 화학, 물리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그가 촬영한 이미지는 다시 감광 작업과 포토폴리머 판화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쳐 변형 되었어요. 촬영 결과물을 다른 물질로 치환하는 그의 태도는 미시사와 함께 흘러온 세월의 풍경을 더 느리게 흐르도록 잡고 있는 것 같아요.

이  이민지 작가는 시간의 흔적을 탐색하며 대상이 담고 있는 표면과 이면을 작품으로 기록합니다. 촬영 현장에서 그가 경험한 다채로운 빛들은 작품 안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Moonlight Panorama›(2024)는 작가가 여러 차례 소청도를 방문해 그곳에 있는 월띠라고 불리우는 분바위를 촬영한 작품입니다. 석회암으로 이루어진 이 바위는, 하얀 달빛을 반사하여 과거에 등대 역할을 해왔다고 합니다. 작가는 오랜 시간 섬에 머물며 바닷물이 빠져나간 후 돌 틈에 생긴 물웅덩이, 암석의 채굴 과정에서 생겨난 돌 표면의 자국을 포착하여 그곳의 시간의 흐름과 이야기를 재현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프로타주 기법을 사용한 ‹Silver lining›(2023)과 같이 사진의 대상을 다른 매체로 변환하는 탐구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작가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감각의 경계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마무리해보겠습니다.

김  대화의 시작에서 하늘에 관하여 말했습니다. 시선이 향하는 대상으로써, 바라보는 자의 상태로써 다른 하늘이요. 땅을 딛고 서있는 우리는 하늘에 선을 긋거나 소유할 수 없어서 추상적인 감정만 지니고 있어요.

하지만 작가들은 보이는 것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탐색하죠. 세 작가는 대상과 재료를 경계로 삼아 떠오르는 생각 위에 여러 개의 층을 견고하게 쌓았습니다. 이 전시는 서로 다른 궤적이 잠시 머무는 곳인 것 같아요. 각기 다른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구름다리 위에서 마주친 것처럼요.

이  하늘은 우리에게 무한한 공간과 시간을 감각하게 합니다. 아주 익숙한 장소가 하늘의 변화로 인해 갑자기 낯설고 생경하게 느껴지는 순간 같이요. 개인이 인지하고 해석하는 하늘이 다른 것처럼 «My Sky Your Sky»에 전시된 세 작가의 작품들은 한 지점에서 교차하는 것 같으면서도 각각 서로 다른 감각의 경계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권현빈(b. 1991)은 눈에 머무는 대상을 오랜 시간 바라보며 그것의 조각으로서의 가능성을 상상한다. 주재료인 돌을 바라보다 틈새를 찾아 쪼개고, 두드리고 파내거나 붙여본다. 권현빈은 «두산아트랩 전시 2019: Part 1»(2019, 두산갤러리, 서울)에 선정되었으며, 갤러리 기체, 모노하, 에이라운지, 레인보우큐브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또 하이트컬렉션, WESS, 아트선재센터, 아마도예술공간, P21 등에서 열린 단체전에 참여한 바 있다.

이민지(b. 1986)는 본 것과 못 본 것을 찍는다. 찍은 것들의 감각적 시차를 가늠하며 단어와 목소리를 붙이기도 한다. 그런 것들을 모아 개인전 «오직 미래만이 과거를 방문한다»(2023, 인천아트플랫폼, 서울), «고스트 모션»(2021, 갤러리조선, 서울), «사이트-래그»(2018, 합정지구, 서울)를 열었고, 사진책 그때는 개를 제대로 잘 묻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사월의눈, 2019)를 만들었다. 본다는 것이 어떻게 다른 감각들로, 타자에게로 이어질 수 있을지 묻고 보려고 한다.

이해민선(b.1977)은 외부의 환경적 조건으로부터 버텨야 하거나 임시방편으로 놓인 사물에 주목한다. 인공과 자연, 생과 죽음이 만나는 지점을 포착해 그것을 드로잉, 페인팅, 설치 작업으로 형상화해왔다. 이해민선은 개인전 «디코이»(2021, 페리지 갤러리, 서울), «덩어리»(2017, 플레이스막, 서울), «살갗의 무게»(2015, 합정지구, 서울) 등에 참여했다. 최근 타데우스 로팍 전시 외 대구미술관, 하이트컬렉션 등 다수 기관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My Sky Your Sky
Hyun Bhin Kwon, Leehaiminsun, Minji 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