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mensional Veil 차원의 막 Byun Sanghwan, Jiieh G Hur, Junghae Park 2 June – 8 July, 2023
Download
CV
Press Release

It all started with my affection for paper as a medium. Whenever I encountered papers with pleasant smells and textures while browsing through different types in stores, I would impulsively purchase them without a specific purpose in mind. Eventually, these papers would find utility in various situations, whether it was hastily wrapping gifts, jotting down notes, or using them as a convenient surface while cooking.
Despite the changing landscape of media, paper has remained a versatile and indispensable material. In the hands of an artist, paper becomes a foundation for exploring new dimensions, allowing them to navigate spaces, capture the weight and essence of sculptures, and seamlessly incorporate the thoughts that arise within their minds. Artists possess an innate ability to perceive the diverse dimensions inherent in these delicate sheets. Rather than merely discuss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aper, Dimensional Veil examines the meanings that paper holds for artists working in different disciplines. The participating artists are painter Junghae Park, sculptor Byun Sanghwan, and installation artist Jiieh G Hur.

In Junghae Park’s paintings, paper is ever-present, serving as a constant element within her artistic creations. To the artist, paper is a subtle symbol for time and space. Park folds and cuts the paper, exploring its various colors and textures, envisioning unseen dimensions beyond its two-dimensional form, and connecting it with various locations of her interest. Paper-based objects coexist alongside her paintings as part of her unique artistic worldview. For this exhibition, she envisions a world beyond our planet that we have yet to reach — a realm that exists as an “image relying on mathematical imagination.” Park contemplates a space that perpetually expands through the act of folding polygons. The works on display from her series Octagonal Echoes (2023) are abstractions of the darkness and faint lights of outer space and the artist’s interest in mathematics that initially stemmed from exploring paper-folding. These shapes, positioned as coordinates in various directions within Park’s images, appear as additional surfaces that must be traversed before entering the canvas.
As a sculptor, Byun Sanghwan goes beyond the mere act of manually shaping forms. He skillfully employs his choice of materials and presentation techniques to subtly manipulate the defining conditions of "sculpture," infusing his concepts with multiple layers of meaning. It is difficult to explicitly identify his Live Rust series as sculptures, even when examining their description details. Without actively intervening in viewers’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artwork is a sculpture or a print, Byun simply lists a series of conditions; while the works merely appear as prints, the description of materials includes “anti-corrosive paint, engraving paper, and rolled steel type printing.” The material qualities of “rolled steel” are difficult for viewers to grasp, while the terms “type” and “printing” evoke a peculiar sense of speed. To create this series, which Byun has been working on since 2018, he employs H- and I-beams typically found in architectural frameworks, refines them to controllable weights, and applies anti-corrosive paint. Then, in a single motion, he introduces motifs at set intervals. Considering that he has compressed the anti-corrosive paint into a mass weighing over 15 kilograms, the work no longer reads as merely two-dimensional. The weight of the artist’s actions is now expressed solely through color and texture on the printmaking paper, resulting in a lightweight and mobile mass. The juxtaposition between the subject matter and materials creates a humorous effect, further enhanced by the cynical imagination implied by the title. As a result, the Live Rust series defies classification within any specific genre. Live Rust — Small Magneto+Odyssey (2023) is divided into “alpha” and “beta” versions,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t directions of beam movement within the shape. In the alpha version, small shapes, meticulously carved through the intaglio technique, are placed side-by-side or scattered in small components that occupy the space.

Jiieh G Hur, an installation artist, attempts to achieve a delicate balance between material and the constant flow of thoughts within her. Hur also produces sound works inspired by her interest in certain writings and the information that she gathers through field recordings. Her creative process begins with both auditory and visual stimulations, gradually allowing the content to dissipate, leaving behind only tactile forms. These creations embody the essence of paper’s life and decay, meticulously crafted by finely chopping and mashing the sheets she has assembled. The majority of the paper she uses comes from printed materials. As she breaks down these printed materials, the ink and adhesive blend with water, revealing their distinct colors and textures. The artist then responds to these materials, incorporating them into her artwork to determine the color and firmness of the piece. The resulting forms arising from this amalgamation of paper mixtures are irregular and precarious, further accentuated by the inclusion of long, flexible metal rods that introduce an element of uncertain balance. Flagpoles, once utilized as markers of territorial boundaries, continue to exist in modified forms throughout the city, carrying a multitude of shapes and meanings. Intrigued by the flagpole’s significance within the urban landscape, the artist often integrates forms reminiscent of stone markers into her work. Rather than rushing to create a specific shape, she finds delight in the organic emergence of shapes as she gathers her thoughts; the question of “what” she is creating holds little importance. Employing various methods, Hur weaves together scenes that come to resemble her personal memories as their shapes unfold.

Soohyun Kim, Deputy Director

Junghae Park (b. 1989, based in Seoul)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Painting at Hongik University. Since 2017, her artistic focus has revolved around the theme of the “materiality of light.”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Mellow Melody (2021, Whistle, Seoul), Xagenexx (2017, Onground2, Seoul), and Dear. Drops (2016, Archive Bomm, Seoul).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prominent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the Seoul Museum of Art, the Ilmin Museum of Art, the Hite Collection, DOOSAN Gallery, the Busan Biennale, and Kukje Gallery.

Byun Sanghwan (b. 1986, based in Seoul) received an undergraduate degree in fine ar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mpleted his graduate studies in the same field at the same university. His solo exhibitions include The Hand Is Quicker than the Eye (2022, Space So, Seoul), New Twinkling Hairtail (2021, SeMA Warehouse, Seoul), gestures, exaltation, a short life (2018, Space So, Seoul), Cool Peace, Cool Landing (2016, Studio MRGG, Seoul), and Pure, solid courage (2016, Space Willing N Dealing, Seoul). He has also participated in group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the Seoul Museum of Art, Seoul Art Space Geumcheon, Whistle, and the Seongbuk Young Art Space.

Jiieh G Hur (b. 1982) graduated from Otis College of Art and Design with a BFA in Sculpture/New Genres and received her MFA in Ceramics from the School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er solo exhibitions include let’s meet after the thunderstorm (2021, Alter Ego, Seoul) and Electric Smash (2019, Whistle, Seoul). Her work has been exhibited at Art Basel Miami and in group exhibitions at Galerie ERD, Opsis Art, Salon de H, and One and J. Gallery.


처음 생각의 시작은 종이라는 재료에 관한 애정에서부터 였다. 지류함에 꽂힌 다양한 종이를 구경하며 냄새와 촉감이 마음에 드는 종이를 만나는 날엔 쓰임도 정하지 않고 구매하곤 했다. 이래저래 급한 선물의 포장지로, 메모지로, 요리의 받침으로 사라진.
세상의 매체가 변했다 해도 종이는 여전히 유용하며 다양하다. 종이는 예술가의 손에서 다른 차원으로 넘어가는 토대가 된다. 종이를 통해 공간을 탐구하고, 조각의 무게를 담고, 떠오르는 상념을 개어 넣고, 미술가에게는 이 얇은 막을 통해 다른 차원을 바라보는 본능적인 감각이 심어져 있는 것만 같다.
차원의 막전은 종이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은 아니다. 본 전시에서는 각기 다른 분야에 있는 미술가가 종이를1 어떤 의미로 다루는지 살펴본다. 전시에는 회화 작가 박정혜, 조각가 변상환, 설치미술가 허지혜가 참여한다.

박정혜의 회화에는 종이라는 대상이 항상 존재한다. 작가에게 종이란 시공간을 암시하는 상징 같은 것이다. 그는 종이를 접고 자르며 색감과 표면을 탐구하고 종이가 지닌 납작한 모양새 너머에 존재하는 공간을 떠올리며 본인이 관심을 두는 장소와 연관 짓는다. 종이 오브제는 그의 회화와 공존하며 작가만의 세계관을 형성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아직 우리가 직접 닿지 못한 수학적 상상이 동원된 이미지로써 존재하는 지구 밖 세상에 관한 모습을 떠올렸다. 그는 다각형을 접는 행위를 통해 끝없이 증식되는 공간을 생각한다. 전시된 ‹Octagonal Echoes›(2023)시리즈는 우주의 어두운 공간과 희미한 불빛이 종이접기에서 시작된 수학에 대한 관심과 함께 추상화 된 것이다. 박정혜의 회화 속에서 여러 방향의 좌표로 놓인 이 도상들은 캔버스로 진입하기 직전에 통과해야 하는 면이 한 겹 더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한다.

변상환은 조각가로서 형상을 손으로 빚는 일을 넘어, 재료를 선택하고 작품을 연출하는 방식을 통해 조각이 매체적으로 성립할 수 있는 조건을 가볍게 비틀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개념을 다양한 층위에 녹여낸다. 전시장에 놓인 Live Rust 시리즈는 작품의 명제를 살펴보아도 조각이라는 단서를 찾기는 쉽지 않다.
작가는 관람자가 이 작품이 조각인지 판화인지 판단하는 것에 개입하지 않고 몇 가지 상황만 제시해 두었다. 작업은 판화의 형식을 띠고 있으며 재료 설명에 방청페인트, 판화지, 형강 활자 인쇄라 덧붙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형강이라는 재료의 물성에 관해 가늠하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활자인쇄라는 말은 속도감마저 느끼게 한다. 이 작업은 작가가 2018년부터 이어왔다. 건축의 골격으로 사용하는 H, I 빔을 본인이 제어 가능한 무게로 다듬어서 방청 페인트를 바른 후 한 번의 호흡에 일정한 간격으로 도상을 찍어낸 것이다. 철의 부식을 막는 방청 페인트를 15kg이 넘는 덩어리로 눌러서 찍었다고 생각해 보면 이 작품은 더 이상 평면 작업으로 읽히지 않는다. 작품을 만드는 행위의 무게는 판화지에 색과 질감으로만 남아 가볍게 이동 가능한 몸체를 얻었다. 이렇게 작업의 대상과 재료의 성질이 상반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유머, 그리고 작가의 냉소적인 상상을 함축하는 제목의 합은 Live Rust 시리즈를 하나의 장르로 해석할 수 없게 만든다. ‹Live Rust–작은 만자왕+Odyssey›(2023)는 빔의 이동 방향이 다른 도상으로 구분되며 각각 알파와 베타 버전으로 분리된다. 알파에서 음각으로 도려내어진 작은 도형들은 나란히 놓이거나 작게 나뉘어 여기저기 흩어져 공간을 점유한다.

허지혜는 설치미술가로, 끊임없이 떠오르는 생각과 물질 사이에서 균형잡기를 시도한다. 작가는 평소에 관심 두고 있는 글과 필드 리코딩을 통해 수집한 재료로 사운드 작업도 병행한다. 작가의 설치 작업은 시각과 청각의 자극에서 시작하여 내용이 점차 사라지고 촉각적인 형태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종이의 생과 사가 느껴지는 이번 작업은 작가가 그간 모은 종이를 잘게 자르고 으깨서 만들었다. 작업에 사용한 종이는 대부분 인쇄물이다. 인쇄물을 해체하고 물에 개면서 종이에 섞인 잉크와 접착제 등의 성분이 드러난다. 이것은 작품으로 다시 결합될 때 색상과 견고함을 결정하며 작가는 이 재료들에 반응한다. 종이죽을 뭉쳐서 만든 작품의 형태는 불규칙하고 위태롭다. 게다가 낭창거리는 긴 철제 막대까지 더해져 무게중심이 아슬아슬하다. 깃대는 과거에 영역을 표시하는 상징물이었고 현재까지도 도심 곳곳에서 변형된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다. 다양한 모습과 의미를 담은 깃대는 작가에게 흥미로운 도시의 풍경 중 하나였다. 그래서 그의 작품에는 종종 표지석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가 드러난다. 작가는 어떤 형상을 만들기 위해 돌진하지 않고 생각을 정리하면서 드러나는 형태에 즐거움을 얻는다. 무엇을 만드는지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허지혜는 여러가지 방식을 수행하며 작품의 모양새가 드러날 때 기억과 유사한 장면을 연결하고 완성한다.

글 김수현(휘슬, 부디렉터)

박정혜(b. 1989)는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현재 서울에서 활동 중이다. 작가는 2017년부터 빛의 물질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개인전 ‹Mellow Melody›(2021, 휘슬, 서울), ‹Xagenexx›(2017, Onground2, 서울), ‹Dear. Drops›(2016, 아카이브봄, 서울)를 개최했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일민미술관, 하이트컬렉션, 두산갤러리, 부산비엔날레, 국제갤러리 등에서 단체전에 참여했다.

변상환(b.1986)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조형예술을 전공했으며 서울에서 활동 중이다. 개인전 손은 눈보다 빠르다›(2022, 스페이스 소, 서울), ‹생물 은갈치›(2021, SeMA 창고, 서울), ‹몸짓과 흥분과 짧은 역사›(2018, 스페이스 소, 서울), ‹서늘한 평화, 차분한 상륙›(2016, 스튜디오 MRGG, 서울), ‹단단하고 청결한 용기›(2016,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을 개최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금천예술공장, 휘슬, 성북예술창작터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허지혜(b.1982)는 오티스 미술대학에서 조각/-장르를, 시카고 미술대학원에서 세라믹을 전공하고 개인전 ‹let's meet after the thunderstorm›(2021, 알떼에고, 서울), ‹Electric Smash›(2019, 휘슬, 서울)를 개최했다. 이외에도 아트바젤 마이애미, 갤러리 이알디, 옵시스 아트, 살롱 드 에이치, 원앤제이갤러리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Dimensional Veil
Byun Sanghwan, Jiieh G Hur, Junghae Park